http://www.newsnnet.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11
장윤제 목사, '작은도선관은 북카페를 중심으로 주역주민을 위한 창조적 공간 활용 가능' - 뉴스
사)한국복지목회협의회(회장 장윤제 목사)는 지난 4월 28일 광주시 청림교회(장윤제 목사)에서 ‘제62차 COS작은도서관 지역 사회 열린목회 1일 무료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
www.newsnnet.com
지난달 28일, '제62차 COS작은도서관 지역 사회 열린목회 1일 무료 세미나’ 성황리 개최
사)한국복지목회협의회(회장 장윤제 목사)는 지난 4월 28일 광주시 청림교회(장윤제 목사)에서 ‘제62차 COS작은도서관 지역 사회 열린목회 1일 무료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서울, 강원도, 세종시, 대전, 대구 등 전국에서 교회 부흥의 돌파구를 찾으려는 목회자들로 가득 찼다. 청림교회가 10평의 작은도서관을 통해 지역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교회로 성장한 스토리는 참석자들에게 강한 동기 부여가 되었다.
장윤제 목사는 청림교회 사례를 중심으로 작은 도서관이 어떻게 지역사회에 소통의 장으로 자리매김하면서 교회 성장의 동력이 되는지 자세하게 설명했다. 서울에서 목회하던 장 목사는 고깃집을 경매 받아 광주로 내려왔다. 지역아동센터를 설립해 아이들 교육을 시작하려고 했으나 허가가 나지 않았다. 그러다 작은도서관으로 전략을 바꾸었다. 작은도서관은 교육부소관의 학원법이 아닌 문화체육부 소관으로 누구나 자격만 갖추면 설립이 가능하다. 그러면서 지역 주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창구 역할을 톡톡하게 할 수 있다.
▲이날 세미나에는 서울, 강원도, 세종시, 대전, 대구 등 전국에서 교회 부흥의 돌파구를 찾으려는 목회자들로 가득 찼다.
의욕을 가지고 10평의 공간에서 도서관을 시작했지만 책은 기증하고도 읽으러 오지는 않았다. 그래서 맛나는 카페를 열었다. 적중했다. 엄마들이 삼삼오오 모여들었다. 커피는 중독이다. 엄마를 따라 온 아이들이 지루해 했다. 레고방을 만들어 주자 아이들이 신났다. 엄마들이 다시 요구했다. 놀기만 하지 말고 공부도 시켜 달라. 교회라 허가해 주지 않았던 까다로운 지역아동센터가 지역 주민인 엄마들의 민원으로 시원하게 해결되었다. 그렇게 주중교육방이 열리고, 다양한 창의성 공간들로 채워졌다. 또 엄마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고민하다 바리스타교육을 시작으로 다양한 취업 교육도 활발했다.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지역 특성상 다문화 가정이 들어오자 그들을 위한 한글교육, 축구동아리 등도 하게 됐다.
장 목사는 “작은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읽는 공간이 아니다. 북카페를 중심으로 사랑방, 교육방, 취업방, 나눔복지방, 상담방 등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서 “얼마든지 전략과 창의성, 열정만 있으면 주중교육을 활발하게 할 수 있다. 지역 사회의 필요를 파악하여 그들을 채워주는 교육으로 운영하면 교회 공간이 살아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다양한 사람들이 교회 문턱을 넘어와 만남이 이루어져야 복음도 전할 수 있다. 제도권으로 진입해 그것을 중심으로 공모사업도 진행하고, 강좌들이 늘어나면 교회 재정 문제도 합법적으로 해결된다”면서 “이것 보다 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부흥 동력은 없다. 앞으로 한국교회는 교인들뿐 아니라 지역 주민들을 위한 주중교육으로 전환해야 정체의 늪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고 확신했다.
그렇다고 작은도서관만 문을 연다고 원활하게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작은도서관을 운영하는 노하우가 필요하다. 특히 다양한 사람들의 필요를 채워주려면 전문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장 목사는 “커피 맛을 내는 기술, 책을 읽고 마음을 나누는 코칭, 억눌린 감정을 치유하는 상담 등 전문 자격을 갖추어야 제대로 케어할 수 있다. 문제는 시간과 재정이다. 이제 다시 전문대학에 들어가서 공부하기는 현실적으로 부담이 된다”면서 “그래서 온라인으로 누구나 쉽게 그러나 확실하게 전문교육을 받고,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드림원격평생교육원(www.kwccc.co.kr)'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는 70개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고 말했다.
▲합동총회 자립개발원 팀장 김태훈 목사가 ‘메타버스 미디어 목회’을 주제로 강의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장윤제 목사가 ‘왜 COS 작은도서관인가?’, 전태근 운동본부장이 ‘작은 도서관 설치, 및 운영, 프로그램’, 합동총회 자립개발원 팀장 김태훈 목사가 ‘메타버스 미디어 목회’을 주제로 강의했다. 또 △모바일 리더십 코칭 △돌봄 공모사업 등 전반적인 운영 방안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한편 세미나에 참석한 인천하늘빛감리교회 김영숙 사모는 “작은도서관을 작년 연말에 설립해 놓고 우리작은도서관만의 브랜딩 작업을 하던 중 세미나에 참석하게 되었다”면서 “교회가 작은도서관을 통해 지역사회와 소통하고 지역사회에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좋은 통로임을 알게 되었다. 이것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 방법들을 다양하게 제시해어 모호하고 잡히지 않던 브랜딩 작업에 대한 방향성과 색깔을 잡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감사했다.
또 의왕시은혜숲교회 김진나 목사는 “하나님께서 이 시대에 필요로 하는 교회를 생각하는 중요한 시간이었다. 지역에 필요를 채워주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에 공감한다. 공유하고 참여할 수 있는 시대의 언어를 알고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이 작은 도서관이 될 것이라는 미래를 두고 소망을 갖게 되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