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15

한교총, 2023 탄소중립 ‘나부터 실천’ (7)

지구 없이 교회가 존재할 수 있겠는가? 지금은 지구 비상사태이다. 매우 이례적으로 극단적인 이상기후 현상의 빈도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살인적인 폭염, 엄청난 폭우와 대홍수, 통제 불능의 태풍, 빈번한 산불, 극심한 가뭄 등 지구 조절 시스템이 붕괴 직전이다. 지금 우리는 매우 긴박한 ‘기후 비상사태’에 처해 있다. 이 같은 위기의 원인은 산업화 이후 인간이 내뿜는 '탄소'다. 그래서 전 세계는 지금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2050년까지 탄소 순 배출량을 '제로'로 만들자며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회(IPCC)가 최근 발표한 제6차 보고서에서 보듯, 전 세계적으로 탄소 감축을 위해 합의한 행동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 더구나 무한 경쟁과 무한 성장을 추..

카테고리 없음 2023.09.20

한교총, 2023 탄소중립 ‘나부터 실천’ (6)

기후 위기 비극을 막기 위해 한국교회가 깨어나야 한다 10년 단위로 묶은 기간에서 기록상 가장 더웠던 여덟 번의 햇수가 들어 있던 때는 언제일까? 10년 단위로 가장 더웠던 햇수가 가장 많이 들어 있는 기간은 현재를 기준으로 가장 최근의 10년간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의하면, 적어도 1880년 이후로 지구 표면의 평균 온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다. 지구의 평균 온도를 높이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대기 중 점점 짙어지고 있다. 이산화탄소의 수치는 1985년 315ppm 수준에서 현재도 계속해서 연간 약 2ppm의 비율로 상승하고 있다. 현재는 419ppm이다. 산업화 이전만 하더라도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0.03%, 즉 300ppm을 넘지 않았다. 지구 대기의 역사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카테고리 없음 2023.09.14

한교총, 2023 탄소중립 ‘나부터 실천’ (5)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할 때 전 세계가 기후 위기에 공감하고 탄소중립을 향하고 있다. 이전의 글로벌 탄소 감축 목표였던 파리협약이나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가 선언적이고 자발적인 목표였다면, 탄소중립은 국가별 순 탄소 배출량을 0으로 설정하는 명확한 목표와 함께 다소의 강제성을 띠는, 실제적 목표라 할 수 있다. 2022년 11월 기준으로 전 세계 탄소의 90%를 배출하는 140여 개 국가가 2050년 전후의 탄소중립을 선언하였으며, 특히 탄소배출 1위 중국과 2위 미국이 참여하여 국제적 공조가 기대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지난 6월 22일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제4차 전체 회의 심의를 거쳐 관계부처 합동 '제3차 국가 기후 위기 적응 강화대책..

카테고리 없음 2023.09.06

월드비전, 배우 김효진 홍보대사와 ‘에코액션(Eco Action)’ 캠페인 전개

9월 1일부터 기후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을 위한 캠페인 진행 중 ▲월드비전이 김효진 홍보대사와 함께 ‘에코액션(Eco Action)’ 캠페인을 진행한다. ⓒ월드비전 국제구호개발 NGO 월드비전(회장 조명환)이 배우 김효진 홍보대사와 지난 1일부터 기후위기 속 방글라데시 아동을 지키기 위한 ‘에코액션(Eco Action)’ 캠페인을 전개 중이다라고 밝혔다. 에코액션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가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작은 행동을 뜻하는 말로 에코백, 다회용 컵, 손수건 사용 등이 해당된다. 월드비전은 홍수, 가뭄 등 재난이 자주 발생하는 방글라데시를 비롯해 기후변화로 어려움에 직면한 아이들을 돕기 위해 이번 캠페인을 기획했다. 캠페인 참여 희망자는 월드비전 공식 홈페이지 ‘월드비전 에코액션’ 페이지에..

카테고리 없음 2023.09.04

한교총, 2023 탄소중립 ‘나부터 실천’ (4)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교회의 역할과 생태적 삶의 실천 성경이나 교회 역사를 보면 그리스도인은 위기의 시대에 하나님의 메신저로서 예언자적 사명을 감당해 왔다. 하나님이 죄악으로 가득한 세상을 물로 심판하실 때 노아는 자기 가족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살아있는 모든 동물을 위해 방주를 설계했다. 하나님은 노아의 희생으로 만든 방주를 이용해 모든 생명을 구원하시고 이 땅을 새롭게 하셨다. 기후 위기 시대에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은 노아와 같이 녹색 십자가를 지고 생명의 길을 가야 한다. 신학적으로는 생태학적 창조론과 통전적 생명선교론을 회복하고 목회적으로는 녹색교회, 생명목회, 생태 영성 훈련, 생태 환경교육 등을 실천해야 한다. 그리스도인들의 생태적 영성은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창조섭리에서 생태적 관점과 태도를..

카테고리 없음 2023.08.31